카테고리
미국 12월 CPI 2.9% 상승으로 예상치 부합. 고용은 늘고 실업률은 하락하며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에 국채금리는 상승. 미국이 예상보다 낮은? 성장률로 전 분기대비 2.3% 상승(한국은 0.1....)하여, 트럼프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는 얘기하며 1월 금리 동결. 현재 4.25~4.5%.
미국 트럼프가 20일 집권하면서 세계경제포럼 다보스포럼에서 인플레 원인은 유가이며 유가하락을위해 사우디와 연락할거란 입장. 인플레 잡으며 금리인하해야한다는 입장. 증시 및 코인 시장은 오르는 모습 그리고 다양성, 환경규제 폐기하며 친에너지 모습 보이는 중. 미국 트럼프 대비해 미국채 금리 꾸준히 상승중. 고관세에 수입물가 상승우려, 경제지표 긍정적, 감세 정책으로 재정 적자 확대 이유.
젠승황 양자컴 15년은 걸린다 발언.
일본이 기준금리응 올려 0.5%가 됨.
한국은 기준금리 3%로 동결. 경제 상황으로보면 금리 인하가 맞지만, 원화값 방어를위해 동결 선택. 한국 경제 연구원장들은 환율보단 내수를위해 돈 풀고 금리 내려야 한다는 입장.
한국 가계대출 은행의 대출조이기에 반여년만에 하락추세로 전환. 그러나 코픽스 금리를 다시 낮추며 가계대출 금리도 낮아질거란 예상.
국내 증시 올해 테마는 AI, 조선, 콘텐츠라는 뷰.
한국 뷰티 중소기업 수출이 매우 좋다는 이야기.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이 15개월만에 휴전으로 돌입.
중국의 딥시크 AI 의 미국 1/10 수준의 비용으로 오픈ai 개발 가능하다는 발언에 엔비디아 등 관련주 쇼크.
러우 전쟁에서 포로로잡힌 북한군은 전쟁터로 간다는 사실도 몰랐으며 귀환보다는 이곳에 남길 원하면서도 북한에 있는 가족들은 걱정하는 모습.
한국 강남 건물주중에 10대로 여럿. 찐부자들의 절세 그리고 상속.
한국 윤석열 대통령 구속.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윤대통령 체포 구금.
빠르게 지난간 1월. 국내 경제는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해무 속을 걷는 느낌. 국내 정치와 사회적인 분위기가 안정되고 경제에도 희소식이 들리길.
국제정세는 트럼프 리스크가 있지만 중국과의 관계는 나쁘지 않게 흐르는 모습. 다른 근교 국가들은 힘들어하는 모양세, 증시도 출렁이는 모습을 보이지만 큰 불안요소는 없어보임.